반응형 투자/경제용어36 은행 지급준비율이란? 지급준비제도란 무엇인가 지급준비율(지준율)이란 고객 예치금을 의무적으로 한국은행에 예치해야 하는 비율을 말하며 지급준비제도는 이러한 비율을 정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지급준비율이란? 지급준비율(cash reserve ratio) 지급준비율이란 줄여서 지준율이라고도 하며 은행이 고객으로부터 받은 예금 중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예치해야 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지급준비율 제도는 고객에게 지급할 돈을 준비하여 은행의 지급 불능 사태를 막는다는 고객 보호 차원에서 도입되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금융정책의 주요 수단이라는 점에 더 큰 의의를 둡니다. 중앙은행이 지급준비율을 조작함으로써 시중 통화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지급준비율을 높이면 중앙은행에 적립해야 할 돈이 많아지므로 시중의 유동성을 흡수하게 되고 지급준비율을 .. 2022. 10. 23. 불성실공시 법인 지정 벌점과 매매정지 기준 | 지정 사유 및 확인 방법 불성실공시란 주권 상장법인이 공시의무를 성실히 이행하지 아니하여 공시불이행, 공시번복 또는 공시변경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지정된 후 1년간 누적 벌점이 15점이 되면 매매 거래정지가 됩니다. 불성실공시란? 불성실공시란 주권 상장법인이 거래법 및 상장법인 공시규정에 의한 공시의무를 성실히 이행하지 아니하여 공시불이행, 공시번복 또는 공시변경의 유형에 해당된 경우를 말합니다. 아울러 주권 상장법인이 공시불이행, 공시번복 및 공시변경의 사유에 해당될 경우에는 불성실 공시법인으로 지정되게 됩니다. 불성실 공시법인은 지정일로부터 1년 동안 공표됩니다. 15점이 넘을 경우 거래정지가 되고 상장폐지 사유까지 갈 수 있으니 보유종목의 벌점 누계 현황을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불성실공시법인 현황 .. 2022. 10. 22. 레밍 신드롬(효과)란? | 레밍 효과와 투자자 레밍 신드롬(Lemming syndrome)란 자신의 생각없이 남들이 하는 행태를 무작정 따라하는 집단행동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경제 관련 용어에서도 자주 쓰이곤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레밍 신드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레밍 신드롬이란?(Lemming syndrome]) 레밍 신드롬이란 레밍효과 (The Lemming effect)라고 하며 자신의 생각없이 남들이 하는 행태를 무작정 따라하는 집단행동 현상을 말합니다. 레밍은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사는 설치류의 일종으로 '나그네 쥐'라고 도 불립니다. 또한 이들은 번식력이 좋아 개체 수가 급속히 빨리 늘어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체수가 급증하면 다른 땅을 찾아 움직이는데, 이동시 직선으로 우두머리만 보고 따라가다 집단적으로 호수나 바다에 .. 2022. 10. 21. 테마주 종류, 변천사 | 테마주 조심해야 하는 이유 테마주는 주식시장의 거시 변수 또는 기업의 실적과 무관하게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테마주는 상상 밖의 주가 상승률을 보이지만 개인투자자의 피해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테마주 투자를 조심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썸] 테마주의 종류 1. 모든 곳에 달라붙는 테마주 테마주에는 정치테마주, 산업 테마주, 날씨 테마주, 단기 이슈 테마주 등 붙있을 수 있는 모든 이야깃거리를 장착해 종목에 달라붙습니다. 테마주는 특정 섹터를 대상으로 하지 않습니다. 또한 평소에는 소외주에 거래량도 없는 종목이었다가 갑자기 테마로 돌변해 수십 배의 광기를 보여주는 종목도 많았습니다. 따라서 태생적으로 테마주인 경우는 없으며 시대의 흐름과 주가를 움직이는 플레이어의 스토리에 테마가 탄생하게 되는 것입.. 2022. 10. 19. 미국 CPI란? 구성요소 및 구성비중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모든 것 미국 CPI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를 말합니다. 최근 CPI 급등으로 기준 금리 인상 또한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번포스팅을 통해서 CPI의 구성요소와 비중은 어떻게 되고 각 구성요소별 비중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CPI란?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CPI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가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해 지불하는 가격을 측정한 것입니다. 모든 도시 소비자와 도시 임금 근로자, 사무직 근로자 등 인구 집단에 대한 지출 패턴을 반영합니다. 이는 미국 소비자의 약 93%를 차지합니다. 농촌 거주자, 농가, 군 복무자, 교도소나 정신병원과 같은 기관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209개 재화/서비스 항목과 2개의 주거 관련 항목 등 총 .. 2022. 10. 16. VIX란? 활용 | VIX 해석, 보는곳 VIX 지수란 공포지수를 말합니다. 최근 한국 증시뿐만 아니라 글로벌 증시 급락과 함께 VIX지수에 대해 투자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VIX 지수에 대해 알아보고 VIX 보는 곳을 알아보겠습니다. VIX 란? VIX 지수란 Volatility Index의 약자입니다. Volatility는 변동성을, Index는 지수를 뜻해 변동성지수라고도 불립니다. 금융시장에서 변동성은 위험(risk)을 말합니다. 따라서 VIX 지수는 위험을 측정하는 공포지수라고도 불리며 미국 증시의 예상되는 변동성을 가늠하는 척도입니다. VIX는 S&P 500 지수의 옵션 가격을 기준으로 하며, 향후 30일 동안 지수의 put 옵션과 call 옵션의 가중 가격을 합산해 산출합니다. 미국 증시 변동성, 즉 투자.. 2022. 10. 7. 무상증자 의미 및 권리락 해석 | 무상증자 예측 가능할까? 무상증자는 주주에게 돈을 받지 않고 무상으로 주식을 지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무상증자 자체가 기업가치에 영향에 미치지 않지만 호재로 해석해서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합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무상증자가 의미하는 것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무상증자 의미 1. 무상증자란? 무상이란 공짜를 뜻합니다. 무상급식은 공짜 급식을, 무상 AS는 공짜 AS를 뜻하죠. 기업도 마찬가지로 주주를 위해 공짜로 주식을 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무상증자라 합니다. 기업이 가진 재원을 통해 새로 발행한 신주를 주주들에게 교부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주주들에게 돈을 받고 주식을 나눠주면 '유상'증자, 돈을 받지 않고 나눠주면 '무상'증자입니다. 기업 입장에서 무상증자를 했을 경우 회사에 들어오는 돈은 없습니다. 또한 새로 발행한 주식.. 2022. 10. 4. Fear and Greed Index란? 보는 곳, 뜻, 의미 연일 전세계적으로 주가가 급락을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Fear and Greed Index(공포와 탐욕 지수)가 극도의 공포구간을 지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Fear and Greed Index의 뜻과 의미 그리고 보는 곳을 알아보겠습니다. Fear & Greed Index란? Fear & Greed Index란 CNN 비즈니스에서 발표하는 "공포와 탐욕" 지수입니다. 공포와 탐욕 지수는 주식 시장의 움직임과 주식이 적정 가격인지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과도한공포는 주가를 끌어내리고, 지나친 욕심은 오히려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논리에 따른 이론입니다. 공포와 탐욕 지수는 주식 시장의 분위기를 가늠하는 데 사용됩니다. 많은 투자자들은 감정적이고 반동적이며, 두려움과 탐욕의 .. 2022. 10. 2. 레버리지 효과 개념 투자 위험성 완벽정리 레버리지 효과란 금융 용어에서는 지렛대 효과를 말합니다. 투자를 하면서 혹은 뉴스를 보면서 많이 들어봤을 내용입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레버리지 투자의 뜻과 예시와 위험성과 함정 등을 정리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레버리지 투자 1. 레버리지(leverage)란? 레버리지(leverage)란 한글로 '지렛대'라는 뜻입니다. 아르키메데스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면 지구도 들 수 있다고 언급한 적도 있습니다. 그만큼 작은 힘만 들어도 큰 것을 성취한다는 물리학 개념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입니다. 투자의 세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투자라는 것은 작은 돈이든 큰 돈이든 투입을 해야 하는 것이고 투입한 것의 결과로 성과가 나오게 됩니다. 많은 돈을 투입하면 결과의 옮고 그름과 상관없이 성과가 '크기'가 클 것이고.. 2022. 9. 29. 원달러 환율 1500원까지 갈까? | 킹달러 환율 예측 단상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가 여러 매체들이 예상하는 것과 달리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 금융자산 또한 폭락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결국 원 달러 환율이 1,450원까지 터치하는 듯 금융시장의 불안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환율이 어디까지 갈까요? 환율을 예측하고 맞추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지만 환율이 왜 오르고 상황이 지금 어떻게 돌아가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원달러 환율 추이 우리나라에서 원 달러 환율이 1,400원대를 뚫었던 적은 IMF 외환위기,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그리고 바로 진행형입니다 다. 3번의 공통점은 '심각한' 국가적, 세계적인 위기였던 순간이었습니다. 위기가 찾아오면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인 달러를 선호하게 되고 기축통화를 제외한 통화들의 .. 2022. 9. 28.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