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경제용어36 PBR 뜻 해석 PBR 완벽이해 PBR(주가순자산비율)이라는 용어는 주식 투자하면서 익숙한 용어이면서 꼭 알아야 하는 개념입니다. PBR의 뜻을 이해하고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그리고 응용법까지를 본 포스팅에서 쉽게 풀어서 설명하겠습니다. PBR 이해하기 1. PBR 개념 (1) 정의 PER 은 Price Book-value Ratio의 약자로 우리말로 주가순자산비율을 뜻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PER = 주가 / 1주당 순자산가치 = 시가총액 / 순자산 이렇게 나타냅니다. PBR 1보다 작으면 저평가를, 1 크면 주가의 고평가를 의미합니다. 1이 기준이 되는 것이 회사의 순자산가치와 시장가치가 같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주가의 고평가와 저평가를 오로지 회사의 순자산으로 평가하는 기준이 PBR입니다. PBR은 1이라는 기준점.. 2022. 9. 21. 리츠 투자 뜻 장점 종류 정리 리츠 투자하는 이유와 어떤 유형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어떤 리츠가 상장되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한때 유행어로 조물주 위에 건물주 라는 말이 있었습니다. 지금 당장 건물주가 싶으신가요? 리츠를 통해 누구나 건물주가 될 수 있습니다. 리츠(REITs)란? 리츠(REITs)란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의 앞글자를 딴 약자로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이나 부동산 관련 자본 또는 지분에 투자하여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회사나 투자신탁을 말합니다. 사전적의미로 이해가 잘 안되기에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100억짜리 A건물을 투자하고 싶습니다. 100억으로 구입하면 대략 연 임대로가 8억정도 나오고 위치도 좋아서 투자하기 매력적입니다. 하지만 100억이란 돈이 너무 커서.. 2022. 9. 20. 주식 상장폐지 요건 정리 주식 상장폐지 요건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상장페지라는 단어는 주식투자 하면서 가장 무서운 단어 중 하나입니다. 코스닥, 코스피 업종 별 상장폐지 전 통상 거쳐가는 관리종목 사유와 퇴출 사유에 대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관리종목과 상장폐지 상장폐지는 상상도 하기 싫은 단어입니다. 상장폐지요건을 알고 주식을 매매한다면 미리 예방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상장폐지 전 90% 이상의 기업이 관리종목에 들어갑니다. 관리종목요건을 알 수 있다면 상장폐지가 될 확률을 더욱 낮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리종목 지정 사유와 상장폐지 사유를 함께 파악해 보겠습니다. 스포츠를 할 때에도 반칙을 했을 경우 옐로카드로 경고를 먼저 줍니다. 그리고 또다시 반칙을 했을 경우에는 퇴장을 시키죠. 주식시장도 마찬가집니다. 즉시 퇴출시키는.. 2022. 9. 19. 배당주 장단점 전략 배당주 리스트 정리 배당주 시즌이 점점 다가오고 있습니다. 배당 투자를 한다면 슬슬 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시기라고 생각됩니다. 배당주 투자의 장단점에 대해 파악 후 고려해야 사항 및 배당주식은 어떤 종목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배당주 투자의 장단점 (1) 배당주 투자의 장점 배당을 준다는 것은 기업이 이익이 충분히 난다는 측면에서 일정 부분 안전마진 역할을 합니다. 간혹 기업의 재무사정이 좋지 않지만 무리하게 배당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예는 드문 경우며, 배당을 주는 기업들 대부분 이익이 잘 나는 경우입니다.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매년 현금흐름이 들어온다는 것이 안전마진 역할을 할 수 있는 게 장점입니다. 안전마진이란 게 투자자들의 '심리적' 안전판 역할도 합니다. 투자에서는 8할 이상이 심리 싸움이기 때문.. 2022. 9. 18. PER 뜻 해석 PER 완벽이해 PER(주가 수익비율)이라는 용어는 주식 투자하면서 익숙한 용어이면서 꼭 알아야 하는 개념입니다. PER이 뭔지 이해하고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그리고 응용법까지를 본 포스팅에서 쉽게 풀어서 설명하겠습니다. PER 이해하기 1. PER 개념 (1) 정의 PER 은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로 우리말로 주가수익비율을 뜻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PER = 주가 / 1주당 순이익 = 시가총액 / 순이익 이렇게 나타냅니다. 잘 와닿지 않습니다. 금융용어는 수식보다 이해가 매우 중요합니다. PER의 개념을 아주 쉽게 예시를 들어 보겠습니다. (2) 예시 A빵집이 있습니다. A빵집은 작년 한 해 순이익이 1억입니다. 이 빵집을 인수하려면 10억 원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인수하려는 금액 10.. 2022. 9. 17. 한미 통화스와프란? 1. 통화스와프란? 통화스와프는 말 그대로 양 국가 간의 통화(원화와 달러)를 바꾼다(swap)한다는 뜻입니다. 양국 간 통화스와프 협정은 자국통화를 상대국 통화와 맞교환하는 방식입니다. 어떤위기가 발생할 징조가 보이면 자국 통화를 상대국에 맡기고 상대방 통화를 단기 차입하는 중앙은행 간 신용계약입니다. 즉, 한국에서 외환보유액이 바닥나 환란사태에 대비하여 미국에서 돈을 빌려오고 그 액수에 해당하는 한국 화폐인 원화를 미국에 담보로 맡기는 방식입니다. 2. 통화스와프의 배경 최근 원/달러환율의 움직임이 1400원에 근접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미간 통화스와프를 체결한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미국과 한미 통화스와프를 300억 달러 규모로 체.. 2022. 9. 16.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