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경제용어

한미 통화스와프란?

by 황금알오리투자 2022. 9. 16.
반응형

통화스와프-정리

 

1. 통화스와프란?

통화스와프는 말 그대로 양 국가 간의 통화(원화와 달러)를 바꾼다(swap)한다는 뜻입니다.

 양국 간 통화스와프 협정은 자국통화를 상대국 통화와 맞교환하는 방식입니다. 어떤위기가 발생할 징조가 보이면 자국 통화를 상대국에 맡기고 상대방 통화를 단기 차입하는 중앙은행 간 신용계약입니다.

 

 , 한국에서 외환보유액이 바닥나 환란사태에 대비하여 미국에서 돈을 빌려오고 그 액수에 해당하는 한국 화폐인 원화를 미국에 담보로 맡기는 방식입니다.

 

2. 통화스와프의 배경

최근 원/달러환율의 움직임이 1400원에 근접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미간 통화스와프를 체결한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미국과 한미 통화스와프를 300억 달러 규모로 체결한 적이 있습니다. 코로나가 터진 2020년도에는 2008년도의 2배인 600억 달러 규모로 통화스와프를 체결했습니다.

 

통화스와프는 양 국가간의 긴밀한 협의가 있어야 되고 국제적인 공조 분위기가 이뤄져야 가능합니다. 아래 차트에서 보듯 이한국의 입장에서는 원 달러 환율이 1400원이 넘어선 건 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입니다.

 

원달러환율
원달러 환율추이

그만큼 상황이 심각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건데요. 우리나라가 보유한 외환보유액으로 인위적으로 달러를 매도해 원/달러 환율을 어느 정도 방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외환보유액이 소진되면 거기에 따른 리스크는 또다시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일정부분 외환보유액을 유지하면서 환율을 방어하기는 한계가 있습니다. 외환보유고는 유사시 위기를 견뎌내는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합니다.

 

반면 지속적인 달러 강세는 미국의 입장에서도 부담입니다. 미국 기업 입장에서 달러 강세는 수출 경쟁력 악화시키고 이는 실적 악화 및 고용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양 국가의 서로의 니즈를 반영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3. 금융시장에서의 효과

일단 우리나라 금융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미 통화스와프 협정이 체결되면 외화유동성 측면에서 안전판이 추가되어 환율이 안정되면 외국인 자금 유입이 다시 증가합니다. 이는 주식 및 채권시장에 유입되는 효과를 불어 일으켜 주식 및 채권시장에서 호재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상 한미통화스와프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한미 통화스와프의 국제적인 공조로 원달러 환율의 안정과 금융시장의 안정을 기대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