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츠 투자하는 이유와 어떤 유형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어떤 리츠가 상장되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한때 유행어로 조물주 위에 건물주 라는 말이 있었습니다. 지금 당장 건물주가 싶으신가요? 리츠를 통해 누구나 건물주가 될 수 있습니다.
리츠(REITs)란?
리츠(REITs)란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의 앞글자를 딴 약자로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이나 부동산 관련 자본 또는 지분에 투자하여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회사나 투자신탁을 말합니다. 사전적의미로 이해가 잘 안되기에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100억짜리 A건물을 투자하고 싶습니다. 100억으로 구입하면 대략 연 임대로가 8억정도 나오고 위치도 좋아서 투자하기 매력적입니다. 하지만 100억이란 돈이 너무 커서 투자하기가 힘들죠. 이 100억짜리 부동산 증서를 여러장으로 쪼개서 상장해 놓은게 리츠입니다. 100억짜리 건물을 100만장으로 쪼개놨다면 단돈 1만원으로 A부동산 투자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발생하는 임대수익 8억을 100만장 증서에 분배 해 주면 됩니다. 1주를 1만원을 주고 투자하면 800원을 배당 받게 됩니다.
리츠에 투자하는 이유
리츠에 투자하는 가장 본질적인 이유는 건물을 사는 이유와 동일합니다. 첫번째는 매각차익이 목적이고 두번째는 안정적인 임대료 수익(배당수익)입니다. 따라서 리츠를 투자하기 위해서 두가지를 따져 봐야 합니다. 첫번째 매각차익이 얼마나 나올 지는 사실상 알기는 쉽지 않습니다. 입지에 따라 상당부분 좌우되며 상업용 부동산 경기에 따라 매각차익의 규모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입니다.배당수익률은 해당 리츠의 상장 공시를 통해 대략적인 예측이 가능합니다. 예컨데 상장 리츠를 1만원 주고 샀고 과거 연배당금이 800원 수준이었으면 미래에도 대략 8% 정도의 배당수익이 예측가능합니다. 하지만 공실이나 리츠의 자산 포트폴리오 변경 등으로 배당금액이 바뀔 여지도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부동산 직접 투자에 비해 리츠의 장점을 꼽는다면 관리의 부담을 덜 수 있다는점입니다. 건물을 직접 매입할 경우 관리자도 선임해야 하고 공실관리 세입자관리 등 부담이 많이 가게 됩니다. (이러한 점이 주인-대리인문제라는 측면에서 단점으로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또 다른 장점은 유동성이 높은 자산이라는 것입니다. 원하는 시점에 주식 시장에서 매도하여 현금화가 가능하다는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1. 리츠의 사회적 기능
- 일반인(소액투자자)에게 부동산 투자 기회 제공
- 부동산 가격 안정
- 건설시장 활성화 도모
- 부동산산업의 발전
2. 투자자 입장에서 장점
- 높은 배당수익률 : 꾸준한 현금흐름을 통하여 높은 수준의 배당수익 제공
- 유동성(환금성) : 주식시장에서 매매를 통해 언제든지 현금화 가능
- 전문성 :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 운용
- 투명성 : 국토부의 관리감독 및 공시를 통해 기초자료를 투명하게 공개
리츠의 종류
1. 리츠의 유형
- 오피스리츠 : 사무실 및 GBD, CBD권 오피스 구역
- 리테일리츠 : 대형 쇼핑몰, 아울렛, 백화점 등 부동산
- 호텔형 리츠 : 호텔과 리조트 등 숙박시설 .
- 주거 리츠 : 아파트, 기숙사, 고급 주택 등 주거목적으로 지어진 부동산
- 물류/산업 리츠 : 창고 및 유통센터와 같은 특정 유형의 부동산
- 데이터센터 :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공랭식 냉각기 및 물리적 보안 시스템 등
- 헬스케어 : 노인 생활 시설, 병원, 의료 관련 건물, 요양원 등
- 인프라리츠 : 광케이블, 무선 인프라, 통신타워 및 에너지 파이프라인 등
2. 상장리츠 종류
리츠투자방법으로는 상장종목과 비상장종목으로 투자할 수 있으며, 일반인들이 소액으로 쉽게 투자로 접근하기 좋은 종목은 상장리츠입니다. 상장 리츠(부동산리츠주식)로는 2011년 에이리츠 상장을 시초로 약 20개의 종목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먼저 상장된 리츠의 종류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리스트 순위는 상장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하였습니다. 해당 리츠별 투자공시에 들어가시면 리츠의 투자자산내역, 운용방법, 배당금기준일, 배당금액 등을 자세히 확인 가능합니다. 해당 리츠별로 다음 포스팅에서 하나씩 다룰 예정입니다. 해당 상장 리츠는 국내에 상장된 리츠입니다. 해외 및 미국 리츠 또한 차후 다룰 예정입니다.
리츠명 | 상장일 |
에이리츠 | ’11.7.14 |
케이탑리츠 | ’12.1.31 |
모두투어리츠 | ’16.9.22 |
이리츠코크렙 | ’18.6.27 |
신한알파리츠 | ’18.8.8 |
롯데리츠 | ’19.10.30 |
NH프라임리츠 | ’19.12.05 |
이지스밸류플러스리츠 | ’20.07.16 |
미래에셋맵스제1호리츠 | ’20.08.05 |
이지스레지던스리츠 | ’20.08.05 |
제이알글로벌리츠 | ’20.08.07 |
코람코에너지플러스리츠 | ’20.08.31 |
ESR켄달스퀘어리츠 | ’20.12.23 |
디앤디플랫폼리츠 | ’21.08.27 |
SK리츠 | ’21.09.14 |
NH올원리츠 | ’21.11.18 |
미래에셋글로벌리츠 | ’21.12.03 |
신한서부티엔디리츠 | ’21.12.10 |
코람코더원리츠 | ’22.03.28 |
마스턴프리미어리츠 | ’22.05.31 |
이상 리츠 투자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오늘도 성공투자 되시기 바랍니다!
경고 : 해당 종목은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한 글이나 내용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투자의 판단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 포스팅을 법적 근거자료로 쓰일 수 없습니다.
'투자 >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달러 환율 1500원까지 갈까? | 킹달러 환율 예측 단상 (0) | 2022.09.28 |
---|---|
PBR 뜻 해석 PBR 완벽이해 (2) | 2022.09.21 |
주식 상장폐지 요건 정리 (0) | 2022.09.19 |
배당주 장단점 전략 배당주 리스트 정리 (1) | 2022.09.18 |
PER 뜻 해석 PER 완벽이해 (0) | 2022.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