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주 시즌이 점점 다가오고 있습니다. 배당 투자를 한다면 슬슬 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시기라고 생각됩니다. 배당주 투자의 장단점에 대해 파악 후 고려해야 사항 및 배당주식은 어떤 종목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배당주 투자의 장단점
(1) 배당주 투자의 장점
배당을 준다는 것은 기업이 이익이 충분히 난다는 측면에서 일정 부분 안전마진 역할을 합니다. 간혹 기업의 재무사정이 좋지 않지만 무리하게 배당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예는 드문 경우며, 배당을 주는 기업들 대부분 이익이 잘 나는 경우입니다.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매년 현금흐름이 들어온다는 것이 안전마진 역할을 할 수 있는 게 장점입니다. 안전마진이란 게 투자자들의 '심리적' 안전판 역할도 합니다. 투자에서는 8할 이상이 심리 싸움이기 때문에 배당이라는 안전마진이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 들어가는 것으로 해석해도 무방합니다.
(2) 고배당주의 함정
배당을 많이 준다고 무조건 좋은 기업일까요?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성장이 가파르면서 배당을 많이 주는 회사는 잘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 배당성향이 높다는 것은 기업의 성장이 어느 정도 정체되었다는 걸 의미하기도 합니다. 성장하는 회사는 벌여들인 이윤으로 재투자나 사업을 확장해 나가기 때문에 대부분 배당을 할 여력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당을 많이 주는 업종을 보면 사양산업 또는 성장이 정체된 산업이 많습니다. 예컨대 아래 고배당주 리스트에서 보듯 증권주, 은행주, 건설주가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전통적 굴뚝산업과 화학주도 제법 많이 포진해 있습니다. 단지 고배당만 추구해 기업을 선택하면 '성장'이라는 토끼를 놓치게 되는 경우 또한 고려해야 합니다.
배당주 투자 시 고려사항
(1) 배당의 지속성과 지급시기
오로지 배당에 관심이 있다면 배당의 지속성이 중요할 것입니다. 매년 벌어들이는 이익의 변동성이 적은 회사일수록 배당을 일정하게 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에 이익 성장 예측이 불확실성 한 기업은 배당 예측도 쉽지 않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배당주에 투자할 때 지급시기도 잘 체크해야 합니다. 분기별 배당을 해주는 기업도 있고 연말 배당을 해주는 기업도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아직까지 연말에 몰아서 배당하는 경우가 더욱 많습니다. 지급 시기에 따라 세금 측면에서 과표도 달라지기 때문에 기업별로 잘 체크해 둬야 합니다. 배당지급시기를 파악하려면 해당 기업의 전자공시를 보면 파악할 수 있습니다. 최근 주주친화 정책을 바탕으로 분기별 배당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분기별 배당은 투자자 입장에서도 안정적인 현금흐름 예측이 가능해 예측 가능성을 증대시키고, 과표 분산 효과도 있어 세금 혜택에서도 유리합니다.
(2) 배당성향
배당성향이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에서 주주에게 환원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기업이 100억의 이익을 냈고 30억을 배당재원으로 쓰였다면 배당성향은 30%가 되게 됩니다. 반면 100억의 이익을 냈는데 100억을 모두 주주에게 환원해주면 배당성향은 100%가 됩니다. 배당성향이 높다고 좋은 기업일까요? 배당성향이 너무 높아도 기업의 입장에서는 좋지 않습니다. 통상 기업의 이익으로 일부 배당을 해주고 남는 것은 재투자를 하거나 비상상황을 대비해 유보를 해놓기도 합니다. 그런데 배당성향을 지속적으로 높이면 기업의 성장 또는 존립에 해가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배당성향을 유지하는 게 중요합니다. 반면 회사가 벌어들이는 돈은 무진장 많고 투자는 적게 하면서도 배당성향을 극히 낮게 유지하는 기업들도 있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주주들 관점에서는 매우 좋지 않은 이기적인 기업으로 투자자들에게 질타를 받고 있습니다.
배당주의 응용
(1) 우선주 투자하기
상장회사의 우선주는 보통주에 비해 싸게 거래되는 게 대다수입니다. 통상 보통주 주가의 40~70% 선에서 주가가 형성됩니다. 이는 보통권이 가지고 있는 경영권(의결권)이 없기 때문입니다. 일반 투자자들은 의결권에 관심이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오로지 배당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우선주 투자도 고려해보는 게 좋습니다. 우선주 투자의 좋은 점은 보통주의 배당금 + 액면가의 1%를 통상 더 줍니다. 예를 들어, 현대차의 경우 2021년도 주당 5,000원의 배당금을 지급했습니다. 우선주는 액면가 1%인 50원을 더해서 주당 5,050원을 지급하였습니다. 시가배당률로 계산해보면 현대차 보통주의 경우 시가배당률은 5,000원/201,000원= 약 2.38%, 우선주의 경우 5050/93400원으로 5.40% 수준의 시가배당률이 나오게 됩니다. 배당수익률만 고려했을 때에는 우선주에 투자하는 게 더 높은 기대수익을 가져다줍니다.
(2) 일정한 '배당성향' or 일정한'배당금액'을 선택할 것인가?
예를 들어 배당성향을 매년 30%로 하겠다고 공표한 기업이 있습니다. 이 기업은 실적이 일정 부분 예측이 가능하고, 꾸준히 성장도 기대된다면 이 회사의 주가뿐만 아니라 배당수익률도 함께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배당성장에 초점을 맞추는 전략입니다. 이렇게 일정한 '배당성향'을 지급하는 기업은 기업의 실적에 따라 배당하기 때문에 배당금액이 일정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반면, 배당 성향에 상관없이 매년 똑같은 배당금을 약속이라도 한 듯 지급하는 기업이 있습니다. 아래 고배당주 리스트 표에서는 'HD현대'가 대표적 예로 매년 3700원을 지급했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의 장점은 매 해 배당이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과 꾸준히 현금흐름이 유입된다는 점입니다. 반면, 실적 변동성이 크다면 HD현대의 예처럼 적자가 나도 배당을 해야 한다는 점과, 이익이 많이 나도 배당성향이 낮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고배당주 리스트
2022년 기준 배당수익률이 높은 기업을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였습니다. 효성 티앤씨의 경우 무려 16%가 넘는 시가배당률을 기록하였습니다. 더욱 고무적인 건 해당 종목의 장기투자자라면 배당금이 3년 동안 무려 5배가 증가하였다는 점입니다. 그만큼 이익이 늘어났기 때문인데 배당금뿐만 아니라 주가수익률도 매우 좋았습니다. 또한 증권주가 , 건설주, 은행주가 많이 포진해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종목들이 배당은 많이 줬으나, 상대적인 주가 수익은 부진했음도 고려해야 합니다. 배당주 투자는 결국 장기적으로 시각에서 접근하는 게 좋다는 판단입니다.
※ 본 배당주 리스트는 PC 화면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종목명 | 현재가 | 배당금(원) | 수익률 (%) |
배당성향 (%) |
1년전 배당금 |
2년전 배당금 |
3년전 배당금 |
효성티앤씨 | 306,000 | 50,000 | 16.34 | 28.01 | 5,000 | 2,000 | 1,000 |
이크레더블 | 17,550 | 2,720 | 15.50 | 235.23 | 700 | 740 | 670 |
한국금융지주우 | 52,300 | 6,212 | 11.88 | 20.37 | 3,062 | 2,962 | 1,862 |
동양생명 | 5,240 | 620 | 11.83 | 35.06 | 220 | 230 | 100 |
삼성증권 | 33,300 | 3,800 | 11.41 | 35.15 | 2,200 | 1,700 | 1,400 |
NH투자증권우 | 9,820 | 1,100 | 11.20 | 35.63 | 750 | 550 | 550 |
한국금융지주 | 55,600 | 6,150 | 11.06 | 20.37 | 3,000 | 2,900 | 1,800 |
금호석유우 | 90,900 | 10,050 | 11.06 | 14.29 | 4,250 | 1,550 | 1,400 |
NH투자증권 | 9,660 | 1,050 | 10.87 | 35.63 | 700 | 500 | 500 |
DB금융투자 | 4,805 | 500 | 10.41 | 17.66 | 300 | 250 | 250 |
대신증권우 | 14,150 | 1,450 | 10.25 | 15.31 | 1,250 | 1,050 | 670 |
대신증권2우B | 13,700 | 1,400 | 10.22 | 15.31 | 1,200 | 1,000 | 620 |
금호건설 | 8,160 | 800 | 9.80 | 19.38 | 500 | 500 | 500 |
HD현대 | 58,500 | 5,550 | 9.49 | -296.46 | 3,700 | 3,700 | 3,700 |
대신증권 | 14,850 | 1,400 | 9.43 | 15.31 | 1,200 | 1,000 | 620 |
이베스트투자증권 | 6,380 | 600 | 9.40 | 23.30 | 550 | 345 | 485 |
리드코프 | 8,650 | 800 | 9.25 | 50.95 | 800 | 150 | 150 |
한양증권 | 9,940 | 900 | 9.05 | 14.99 | 750 | 350 | 250 |
동부건설 | 10,150 | 900 | 8.87 | 17.66 | 900 | 700 | 300 |
효성 | 74,800 | 6,500 | 8.69 | 29.53 | 5,000 | 5,000 | 5,000 |
크레버스 | 23,100 | 2,000 | 8.66 | 94.54 | 800 | 1,000 | 800 |
DGB금융지주 | 7,330 | 630 | 8.60 | 21.18 | 390 | 410 | 360 |
BNK금융지주 | 6,590 | 560 | 8.50 | 22.97 | 320 | 360 | 300 |
부국증권우 | 19,900 | 1,650 | 8.29 | 18.61 | 1,250 | 1,250 | 1,250 |
JB금융지주 | 7,300 | 599 | 8.20 | 22.98 | 374 | 300 | 180 |
교보증권 | 6,150 | 500 | 8.13 | 8.99 | 450 | 400 | 350 |
코리아에셋투자증권 | 8,680 | 700 | 8.06 | 26.80 | 450 | 300 | 250 |
하나금융지주 | 38,650 | 3,100 | 8.02 | 25.63 | 1,850 | 2,100 | 1,900 |
현대차증권 | 9,990 | 800 | 8.01 | 24.05 | 675 | 600 | 450 |
동아타이어 | 12,550 | 1,000 | 7.97 | 83.03 | 800 | 500 | 300 |
미래에셋증권2우B | 3,780 | 300 | 7.94 | 16.32 | 200 | 260 | 220 |
기업은행 | 9,830 | 780 | 7.93 | 25.78 | 471 | 670 | 690 |
유안타증권우 | 2,930 | 230 | 7.85 | 24.98 | 175 | 0 | 0 |
금호석유 | 128,500 | 10,000 | 7.78 | 14.29 | 4,200 | 1,500 | 1,350 |
에이피티씨 | 15,450 | 1,200 | 7.77 | 55.64 | 500 | 0 | 200 |
세아베스틸지주 | 19,400 | 1,500 | 7.73 | 26.18 | 200 | 300 | 850 |
우리금융지주 | 11,800 | 900 | 7.63 | 25.29 | 360 | 700 | - |
삼성화재우 | 157,500 | 12,005 | 7.62 | 45.46 | 8,805 | 8,505 | 11,505 |
한국쉘석유 | 250,500 | 19,000 | 7.59 | 85.04 | 14,000 | 16,000 | 19,000 |
이상 배당주를 투자할 때 고려해야 하는 점과 배당주 리스트를 살펴봤습니다. 여러 변수를 잘 고려해서 성공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투자 >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BR 뜻 해석 PBR 완벽이해 (2) | 2022.09.21 |
---|---|
리츠 투자 뜻 장점 종류 정리 (0) | 2022.09.20 |
주식 상장폐지 요건 정리 (0) | 2022.09.19 |
PER 뜻 해석 PER 완벽이해 (0) | 2022.09.17 |
한미 통화스와프란? (0) | 2022.09.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