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밍 신드롬(Lemming syndrome)란 자신의 생각없이 남들이 하는 행태를 무작정 따라하는 집단행동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경제 관련 용어에서도 자주 쓰이곤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레밍 신드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레밍 신드롬이란?(Lemming syndrome])
레밍 신드롬이란 레밍효과 (The Lemming effect)라고 하며 자신의 생각없이 남들이 하는 행태를 무작정 따라하는 집단행동 현상을 말합니다. 레밍은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사는 설치류의 일종으로 '나그네 쥐'라고 도 불립니다. 또한 이들은 번식력이 좋아 개체 수가 급속히 빨리 늘어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체수가 급증하면 다른 땅을 찾아 움직이는데, 이동시 직선으로 우두머리만 보고 따라가다 집단적으로 호수나 바다에 빠져 죽기도 합니다. 이처럼 레밍신드롬은 맹목적인 집단 행동을 비난할 때 종종 인용됩니다.
레밍의 오해
이 귀여운 레밍들이 그냥 무작정 죽는걸까요? 레밍효과에 대한 선입견은 사실과 다르다고 합니다. 먹이를 찾아 행군하다 많은 개체가 허약해지고 병들어 뒤처지고 죽어나갈 뿐이지 죽기 위해 몰려다니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레밍이 집단으로 절벽에서 뛰어내린다는 오해는 과거 미국의 어느 TV 프로그램에서 만들어낸 게 널리 퍼진 것이라고 합니다. 그렇게 대규모로 자살하는 동물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레밍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물입니다.
레밍 효과와 투자자
투자에서도 레밍효과를 종종 언급하곤 합니다. 주식 이나 부동산, 묻지마 가상화폐 투기를 할때 쓰이곤 합니다. 특히 주식에서 테마주 쏠림 현상에서 자주 발견되는 현상입니다. 스스로가 분석하지 않고 오로지 누군가의 말을 듣고 맹목적으로 추종하며 투자를 하곤 합니다. 대중들의 묻지마 투자, 묻지마 쏠림 현상은 '레밍 신드롬'으로 불려지며 그 결과는 대부분 좋지 않은 결말을 맞이했습니다. 따라서 무조건적인 추종보다는 투자 이면에 대한 분석과 리스크 검토가 선행되며 항상 신중한 투자를 해야 할 것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투자의 결과는 결국 자기 자신이 책임을 지는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상 포스팅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 >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 지급준비율이란? 지급준비제도란 무엇인가 (0) | 2022.10.23 |
---|---|
불성실공시 법인 지정 벌점과 매매정지 기준 | 지정 사유 및 확인 방법 (0) | 2022.10.22 |
테마주 종류, 변천사 | 테마주 조심해야 하는 이유 (0) | 2022.10.19 |
미국 CPI란? 구성요소 및 구성비중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모든 것 (0) | 2022.10.16 |
VIX란? 활용 | VIX 해석, 보는곳 (2) | 2022.10.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