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83

ETF 분배금(배당금) 지급일 분배 금액 확인하는 방법 ETF에 투자했을때 분배금을 어떻게 확인할까요? 주식형이든 채권형이든 대부분의 ETF는 분배금(배당금)을 줍니다. 분배금을 확인하는 방법은 세이브로(SEIBRO) 사이트에서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ETF 분배금 확인방법 검색 포털 사이트(구글, 네이버, 다음 등)에서 '세이브로'라고 검색합니다. 세이버로 사이트에서 ETF > 권리행사정보 > 분배금지급현황을 차례로 클릭 한 후 종목명에 돋보기를 눌러 원하는 ETF를 검색합니다 저는 삼성KODEX 배당성장 ETF를 예시로 검색해보았습니다. 지급기준일 및 실 지급일, 주당배당금 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조회기간은 최대 3년까지 조회 가능합니다. 배당지급시기가 분기별인지 연도별인지 확인이 가능하고 현 주가 대비 시가분배율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화면의 .. 2022. 10. 27.
펀드 용어 정리 | 펀드 용어 사전 펀드 또는 ETF를 투자하다보면 생소한 용어들이 등장합니다. 이번포스팅에서 주요 용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펀드용어 정리 1. 용어 일반 용어 내용 개방형(집합투자기구) 투자자가 원할 시 언제든지 환매가 가능한 펀드입니다 추가형(집합투자기구) 기 설정된 펀드에 추가 설정이 가능한 펀드입니다. 증권집합투자기구 증권집합투자기구 투자신탁재산의 50% 초과하여 증권(주식, 채권 등)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한국금융투자협회 펀드코드 상장주식의 경우 회사명 또는 코드번호 6자리를 활용하여 수익자들이 쉽게 공시 사항을 조회, 활용할 수 있는 것처럼 펀드 또한 금융투자협회가 부여하는 5자리 의 고유 코드가 존재하며, 펀드명 뿐만 아니라 이러한 코드를 이용하여 펀드의 각종 정보에 대한 조회가 가능합니다. 금리스왑 금리스.. 2022. 10. 25.
물가안정목표제란? 적정 한국 적정 물가 상승률은 얼마나 될까 한국의 목표 물가지수는 2% 수준입니다. 이처럼 구체적인 2%라는 수치를 두고 통화정책을 펼쳐 물가를 안정시키는 것을 물가안정목표제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물가안정 목표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가안정목표제란? 물가안정목표제란 한국은행이 물가상승률 자체를 목표로 설정하여 중기적 관점에서 이를 달성하려 하는 통화정책의 운영방식을 말합니다. 한국은행은 정부와 협의하여 물가안정 목표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2019년 이후 물가안정목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기 대비)기준 2%입니다. 즉 2%의 물가면 안정적이라 판단하고 2% 이상이면 통화정책을 통해 물가를 안정시키려 합니다. 한국은행은 중기적 시계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에 근접하도록 통화신용정책을 운영하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수준을 .. 2022. 10. 24.
은행 지급준비율이란? 지급준비제도란 무엇인가 지급준비율(지준율)이란 고객 예치금을 의무적으로 한국은행에 예치해야 하는 비율을 말하며 지급준비제도는 이러한 비율을 정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지급준비율이란? 지급준비율(cash reserve ratio) 지급준비율이란 줄여서 지준율이라고도 하며 은행이 고객으로부터 받은 예금 중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예치해야 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지급준비율 제도는 고객에게 지급할 돈을 준비하여 은행의 지급 불능 사태를 막는다는 고객 보호 차원에서 도입되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금융정책의 주요 수단이라는 점에 더 큰 의의를 둡니다. 중앙은행이 지급준비율을 조작함으로써 시중 통화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지급준비율을 높이면 중앙은행에 적립해야 할 돈이 많아지므로 시중의 유동성을 흡수하게 되고 지급준비율을 .. 2022. 10. 23.
불성실공시 법인 지정 벌점과 매매정지 기준 | 지정 사유 및 확인 방법 불성실공시란 주권 상장법인이 공시의무를 성실히 이행하지 아니하여 공시불이행, 공시번복 또는 공시변경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지정된 후 1년간 누적 벌점이 15점이 되면 매매 거래정지가 됩니다. 불성실공시란? 불성실공시란 주권 상장법인이 거래법 및 상장법인 공시규정에 의한 공시의무를 성실히 이행하지 아니하여 공시불이행, 공시번복 또는 공시변경의 유형에 해당된 경우를 말합니다. 아울러 주권 상장법인이 공시불이행, 공시번복 및 공시변경의 사유에 해당될 경우에는 불성실 공시법인으로 지정되게 됩니다. 불성실 공시법인은 지정일로부터 1년 동안 공표됩니다. 15점이 넘을 경우 거래정지가 되고 상장폐지 사유까지 갈 수 있으니 보유종목의 벌점 누계 현황을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불성실공시법인 현황 .. 2022. 10. 22.
레밍 신드롬(효과)란? | 레밍 효과와 투자자 레밍 신드롬(Lemming syndrome)란 자신의 생각없이 남들이 하는 행태를 무작정 따라하는 집단행동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경제 관련 용어에서도 자주 쓰이곤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레밍 신드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레밍 신드롬이란?(Lemming syndrome]) 레밍 신드롬이란 레밍효과 (The Lemming effect)라고 하며 자신의 생각없이 남들이 하는 행태를 무작정 따라하는 집단행동 현상을 말합니다. 레밍은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사는 설치류의 일종으로 '나그네 쥐'라고 도 불립니다. 또한 이들은 번식력이 좋아 개체 수가 급속히 빨리 늘어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체수가 급증하면 다른 땅을 찾아 움직이는데, 이동시 직선으로 우두머리만 보고 따라가다 집단적으로 호수나 바다에 .. 2022. 10. 21.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ETF 분석 분배금 배당금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ETF 분석을 시작합니다.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장기국채의 가격이 많이 빠졌습니다, 이에 따라 장기채의 가격 매력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해당 ETF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ETF 개요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는 한국에 상장된 채권 중 가장 듀레이션이 긴 채권입니다. ETF의 이름 또한 매우 길고 생소할 수도 있지만 최근 국채 금리 급등으로 투자하기 좋은 환경이 마련되고 있습니다. 장기채권의 금리는 단기채권 금리보다 선행합니다. 해당 ETF는 국고채권 30년물 3종목에 대해 30%규모로 현금 차입 후 동일 바스켓 추가 매수로 초과성과를 추구하는 채권 ETF입니다. 장기.. 2022. 10. 20.
테마주 종류, 변천사 | 테마주 조심해야 하는 이유 테마주는 주식시장의 거시 변수 또는 기업의 실적과 무관하게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테마주는 상상 밖의 주가 상승률을 보이지만 개인투자자의 피해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테마주 투자를 조심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썸] 테마주의 종류 1. 모든 곳에 달라붙는 테마주 테마주에는 정치테마주, 산업 테마주, 날씨 테마주, 단기 이슈 테마주 등 붙있을 수 있는 모든 이야깃거리를 장착해 종목에 달라붙습니다. 테마주는 특정 섹터를 대상으로 하지 않습니다. 또한 평소에는 소외주에 거래량도 없는 종목이었다가 갑자기 테마로 돌변해 수십 배의 광기를 보여주는 종목도 많았습니다. 따라서 태생적으로 테마주인 경우는 없으며 시대의 흐름과 주가를 움직이는 플레이어의 스토리에 테마가 탄생하게 되는 것입.. 2022. 10. 19.
KODEX 200선물인버스2x 장기투자 불리한 이유 kodex 200선물인버스2x은 코스피 200 지수 하락에 배팅하는 ETF입니다. 최근 급락장에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 투자 시 투자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게 됩니다. 장기 투자하면 불리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odex 200 선물인버스2x 장기투자 불리한 이유 kodex 200 선물인버스2x장기투자 불리한 이유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변동성 끌림현상 2. 롤오버 위험(비용) 3. 높은 운용보수 하방에 배팅하는 'kodex 200 선물 인버스 2x'나 상방에 배팅하는 'kodex 레버리지'는 방향을 맞추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방향만 잘 맞춘다면 어떤 불리한 요건이 발생이 되어도 수익이 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장기투자 시 상승장과 하락장이 반복되기에 일관된 방향성으로.. 2022. 10. 18.
리츠 투자 단점 및 리스크 정리 리츠란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에 투자한 뒤 임대료 등으로 얻은 이익을 배당하는 부동산 간접투자 상품입니다. 최근 금융시장 냉각으로 리츠 또한 외면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츠 투자의 단점 및 리스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츠 투자 단점(리스크) 요약 금리 인상 시 수익률 저조 가능성 리츠 자산 매각& 매입 불발 가능성 거래량, 거래대금 등 유동성 부족 높은 보수와 부대비용들 부동산, 주식시장과 상관성 리츠 투자 단점 상장 리츠 중 공모가 5천 원을 밑도는 종목이 최근 들어 급증했습니다. 한때 고배당과 안전자산으로 여겨졌던 리츠 투자가 금리 인상 여파와 증시 폭락으로 이어진 탓입니다. 리츠 운용 회사에서 자금 조달 시 더 높은 이자를 줘야 하기에 상황도 불리해진 것도 한몫하고 있습니.. 2022. 10.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