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경제용어

물가안정목표제란? 적정 한국 적정 물가 상승률은 얼마나 될까

by 황금알오리투자 2022. 10. 24.
반응형

한국의 목표 물가지수는 2% 수준입니다. 이처럼 구체적인 2%라는 수치를 두고 통화정책을 펼쳐 물가를 안정시키는 것을 물가안정목표제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물가안정 목표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가안정목표제-썸네일
물가안정목표제

물가안정목표제란?

물가안정목표제란 한국은행이 물가상승률 자체를 목표로 설정하여 중기적 관점에서 이를 달성하려 하는 통화정책의 운영방식을 말합니다. 한국은행은 정부와 협의하여 물가안정 목표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2019년 이후 물가안정목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기 대비)기준 2%입니다.

 

 

즉 2%의 물가면 안정적이라 판단하고 2% 이상이면 통화정책을 통해 물가를 안정시키려 합니다. 한국은행은 중기적 시계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에 근접하도록 통화신용정책을 운영하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수준을 지속적으로 상회하거나 하회할 위험을 균형있게 고려하고 있습니다.

물가안정목표추이-그래프
물가안정목표추이(출처:한국은행)

 

한국은행은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통해 연 4회 통화신용정책 수행상황을 설명하고, 국회 요구 시 한국은행 총재가 출석하여 답변합니다. 물가상황에 대한 평가, 물가 전망 및 리스크 요인, 물가안정목표 달성을 위한 향후 정책방향 등을 포함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를 연 2회 발간하고, 총재 기자간담회 등을 통해 국민에게 설명합니다.

 

 

한국은행은 물가안정목표 이행상황 등을 감안하여 물가안정목표제 운영 개선에 필요한 사항을 2년 주기로 점검하고 정부와 협의하여 그 결과를 국민에게 공개·설명합니다. 한편 예상치 못한 국내외 경제충격, 경제여건 변화 등으로 물가안정목표 변경이 불가피하다고 판단될 경우 정부와 협의를 통해 물가목표를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상 물가안정목표제에 대한 포스팅을 마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