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주식32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삼성바이오로직스 기업분석을 시작하며 주가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업개요 1. 시세현황 및 주요 정보 현재가 : 802,000원 / 발행주식수 :63,695,542주 시가총액 : 57조 815억 주요 주주 : 삼성물산 외 74%, 국민연금 5.6% 외국인 보유비중 : 10.5% 2. 사업의 내용 :바이오의약품을 위탁생 산하는 CMO 사업과 CDO사업을 하는 바이오기업 삼성그룹의 계열사로 2011년 4월 설립되었으며, 국내외 제약회사의 첨단 바이오의약품을 위탁 생산하는 CMO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18년 cGMP 생산을 시작하여 2019년 말 기준 36.2만 리터 생산설비를 가동 중이며, 이 시장에서 선발업체를 추월해 생산설비 기준 세계 1위 CMO로 도약했습니다. '22년 4월 삼성바이오에.. 2022. 9. 17.
OCI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OCI 기업분석을 시작하며 주가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업개요 1. 시세현황 및 주요정보 현재가 : 120,500원 /발행주식수 :23,849,371주 시가총액 :2조 8,738억 주요주주 : 이화영 외 특수관계인 22.2% 외국인보유비중 : 10.33% 2. 사업의 내용 : 세계 3대 폴리실리콘(태양전지 원료) 제조업체 OCI는 특수화학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로 1959년에 설립돼 2009년 상호를 동양제철화학에서 OCI로 변경하였습니다. 말레이시아 소재의 종속회사인 OCIM Sdn. Bhd.는 폴리실리콘 생산능력을 현재 연간 3만톤에서 2022년 연중 3만5천톤으로 확대하기 위해 생산공정개선을 진행 중입니다. 종속회사 DCRE는 안천 미추홀구의 역대 최고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흥행에 성공하였습니다.. 2022. 9. 16.
SK바이오사이언스 주가 기업 분석 및 전망 SK바이오사이언스 기업분석을 시작하며 주가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업개요 1. 시세현황 및 주요정보 현재가(22/09/15) : 104,500원 /발행주식수 : 76,784,046주 시가총액 : 8조 239억 주요주주 : sk케미칼(68%) 외국인보유비중 : 3.53% 2. SK그룹 계열의 백신/바이오의약품 개발, 생산회사 SK바이오사이언스는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의 VAX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여 설립되었습니다. 백신 및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 및 관련된 지식재산권의 임대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글로벌 최고 수준의 백신 생산시설인 L House를 기반으로 글로벌 제약사와의 수주 계약을 통해 코로나19 백신의 C(D)MO사업을 본격화 했습니다. 아.. 2022. 9. 16.
엔씨소프트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엔씨소프트 기업분석을 시작하며 주가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세현황 (22.9.13 기준) 엔씨소프트주가는 현재가 382,500원, 시가총액은 8조3,974 억 입니다. 기업개요 국내 최대 게임회사 온라인, 모바일 게임을 개발해 운영함. PC게임 '리니지'와 '리니지2', '아이온', '블레이드앤소울', 모바일 게임 '리니지M', '리니지2M', '리니지W' 등이 주요 게임을 만든 게임회사입니다. 블레이드&소울2, 트릭스터M이 연달아 실패하면서 주가가 반토막 나는 등 위기가 찾아왔었으나, 리니지W의 성공으로 실적 회복에 성공함. 최근 들어 유니버스 등 엔터, 메타버스 사업을 키우고 있습니다. 엔씨소프트는 지속적인 컨텐츠 업데이트를 통해서 견고한 매출과 고객지표를 유지하고 있으며 영업이익의 대폭상승을.. 2022. 9. 15.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분석 포스트입니다. 시세현황 (22.9.13 기준) 하이브 주가는 현재가 186,500원, 시가총액은 6조 6,992억 입니다. 기업개요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기업 하이브2005년 2월 1일 ‘주식회사 더빅히트엔터테인먼트’로 설립되었습니다. 2020년 10월 15일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되어 거래되고 있습니다. 레이블(Label) 영역, 솔루션(Solution) 영역, 플랫폼(Platform) 영역으로 나눠 음악 콘텐츠를 제작 및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하이브는 매출을 앨범, 공연, 광고·출연료 및 매니지먼트, MD 및 라이선싱, 콘텐츠, 팬클럽 등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Global Music Report 2022에 따르면 한국의 음악 산업 규모는 2021년 기준 미.. 2022. 9. 15.
셀트리온 주가 기업 분석 및 전망 셀트리온 주가 전망 및 기업분석에 관한 글입니다. 시세현황 (22.9.13 기준) 셀트리온 주가는 현재가 186,500원, 시가총액 26조 2,577억 원입니다. 기업개요 글로벌 헬스케어 리딩기업 셀트리온은 생명공학기술 및 동물세포 대량 배양기술을 기반으로 항암제 등 각종 단백질 치료제(therapeutic proteins)를 개발, 생산하는 것을 목적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최대인 140,000L 규모의 동물세포배양 단백질 의약품 생산설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향후 개발 일정과 수요 등을 고려하여 3공장 신설 예정입니다. 세계 최초 개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램시마’는 2016년 미국 FDA로부터 판매 승인을 받았습니다. 셀트리온은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22. 9. 14.
동진쎄미켐 주가 기업 분석 전망 동진쎄미켐 주가 전망 및 기업분석 및 전망에 관한 글입니다. 시세현황 (22.9.13 기준) 동진쎄미켐 주가는 현재가 33,400원, 시가총액 1조 7172억 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기업개요 국내 1위 화학 발포제ㆍ마이크로캡슐 발포제 개발 기업 동진쎄미켐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재료, 대체에너지(Li-ion rechargeable batteries, fuel cells)용 재료와 발포제를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동진쎄미켐이 제조하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재료는 감광액, 반사방지막, SOC, 연마제, Wet Chemical, Colored Resist 등으로 전자소재의 첨단화와 집적화에 기여하는 화학공정 재료가 있습니다. 2022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8.3% 증가, 영업이익은 .. 2022. 9. 14.
NAVER 주가 기업 분석 및 전망 NAVER 주가 분석 및 기업분석 및 전망 포스트입니다. 시세현황 NAVER 주가는 현재가231,500원, 시가총액 38조원 수준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기업개요 국내 1위 포털서비스 종합IT 기업 NAVER는 국내 1위 포털 서비스를 기반으로 광고, 쇼핑, 디지털 간편결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공공/금융 분야를 중심으로 클라우드를 비롯한 다양한 IT 인프라 및 기업향 솔루션 제공을 확대해가고 있습니다. 네이버파이낸셜, 네이버클라우드, 네이버웹툰 등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했으며 2021년 크림, 왓패드, NAER Z 등이 신규 연결 회사로 편입됐습니다. 반면 라인과 라인플러스, 라인페이 등은 지배력 상실로 연결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 2022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1% 증가, .. 2022. 9. 13.
SK하이닉스 주가 기업분석 및 전망 SK하이닉스 주가 분석 및 기업분석 및 전망 포스트입니다. 시세현황 SK하이닉스 주가는 현재가 90,400원, 시가총액 65.8조원 수준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기업개요 국내 2위 반도체 기업 1983년 현대전자로 설립됐고, 2001년 하이닉스반도체를 거쳐 2012년 최대주주가 SK텔레콤으로 바뀌면서 SK하이닉스로 상호를 변경함. 주력제품은 DRAM, 낸드플래쉬,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이며, 2007년부터 시스템LSI 분야인 CIS 사업에 재진출함. 20년 10월 인텔의 NAND사업을, 21년 10월 키파운드리 지분 100%를 양수하기로 결정함. 세계 반도체시장 점유율은 D램 약 28%, 낸드플래시 14% 수준임. 통상 1분기는 반도체산업의 전형적 비수기인데도 처음으로 매출 12조원 벽을 넘어섬. 영.. 2022. 9. 13.
카카오 주가 기업 분석 및 전망 카카오 주가 분석 및 기업분석 및 전망 포스트입니다. 카카오 시세현황 카카오 주가는 현재가 68,000원, 시가총액 30.3조원 수준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기업개요 국내 1위 메신저 기업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메신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커머스, 모빌리티, 페이, 게임, 뮤직, 콘텐츠 등 다양한 영역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음. 매출은 플랫폼 부문 52.8%, 콘텐츠 부문 47.2%로 구성됐음. 경쟁사 네이버에 비해 해외 사업 실적이 부진하다는 평가를 받아왔으나 Beyond Korea를 핵심 키워드를 내세워 해외 웹툰 시장 등에서 활약 중임. 모바일 시대 이후를 대비하는 Beyond Mobile 전략도 추진 중임.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3% 증가, 영업이익은 0.7% 증가.. 2022. 9.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