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39 불성실공시 법인 지정 벌점과 매매정지 기준 | 지정 사유 및 확인 방법 불성실공시란 주권 상장법인이 공시의무를 성실히 이행하지 아니하여 공시불이행, 공시번복 또는 공시변경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지정된 후 1년간 누적 벌점이 15점이 되면 매매 거래정지가 됩니다. 불성실공시란? 불성실공시란 주권 상장법인이 거래법 및 상장법인 공시규정에 의한 공시의무를 성실히 이행하지 아니하여 공시불이행, 공시번복 또는 공시변경의 유형에 해당된 경우를 말합니다. 아울러 주권 상장법인이 공시불이행, 공시번복 및 공시변경의 사유에 해당될 경우에는 불성실 공시법인으로 지정되게 됩니다. 불성실 공시법인은 지정일로부터 1년 동안 공표됩니다. 15점이 넘을 경우 거래정지가 되고 상장폐지 사유까지 갈 수 있으니 보유종목의 벌점 누계 현황을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불성실공시법인 현황 .. 2022. 10. 22. 레밍 신드롬(효과)란? | 레밍 효과와 투자자 레밍 신드롬(Lemming syndrome)란 자신의 생각없이 남들이 하는 행태를 무작정 따라하는 집단행동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경제 관련 용어에서도 자주 쓰이곤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레밍 신드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레밍 신드롬이란?(Lemming syndrome]) 레밍 신드롬이란 레밍효과 (The Lemming effect)라고 하며 자신의 생각없이 남들이 하는 행태를 무작정 따라하는 집단행동 현상을 말합니다. 레밍은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사는 설치류의 일종으로 '나그네 쥐'라고 도 불립니다. 또한 이들은 번식력이 좋아 개체 수가 급속히 빨리 늘어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체수가 급증하면 다른 땅을 찾아 움직이는데, 이동시 직선으로 우두머리만 보고 따라가다 집단적으로 호수나 바다에 .. 2022. 10. 21.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ETF 분석 분배금 배당금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ETF 분석을 시작합니다.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장기국채의 가격이 많이 빠졌습니다, 이에 따라 장기채의 가격 매력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해당 ETF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ETF 개요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는 한국에 상장된 채권 중 가장 듀레이션이 긴 채권입니다. ETF의 이름 또한 매우 길고 생소할 수도 있지만 최근 국채 금리 급등으로 투자하기 좋은 환경이 마련되고 있습니다. 장기채권의 금리는 단기채권 금리보다 선행합니다. 해당 ETF는 국고채권 30년물 3종목에 대해 30%규모로 현금 차입 후 동일 바스켓 추가 매수로 초과성과를 추구하는 채권 ETF입니다. 장기.. 2022. 10. 20. 테마주 종류, 변천사 | 테마주 조심해야 하는 이유 테마주는 주식시장의 거시 변수 또는 기업의 실적과 무관하게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테마주는 상상 밖의 주가 상승률을 보이지만 개인투자자의 피해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테마주 투자를 조심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썸] 테마주의 종류 1. 모든 곳에 달라붙는 테마주 테마주에는 정치테마주, 산업 테마주, 날씨 테마주, 단기 이슈 테마주 등 붙있을 수 있는 모든 이야깃거리를 장착해 종목에 달라붙습니다. 테마주는 특정 섹터를 대상으로 하지 않습니다. 또한 평소에는 소외주에 거래량도 없는 종목이었다가 갑자기 테마로 돌변해 수십 배의 광기를 보여주는 종목도 많았습니다. 따라서 태생적으로 테마주인 경우는 없으며 시대의 흐름과 주가를 움직이는 플레이어의 스토리에 테마가 탄생하게 되는 것입.. 2022. 10. 19. KODEX 200선물인버스2x 장기투자 불리한 이유 kodex 200선물인버스2x은 코스피 200 지수 하락에 배팅하는 ETF입니다. 최근 급락장에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 투자 시 투자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게 됩니다. 장기 투자하면 불리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odex 200 선물인버스2x 장기투자 불리한 이유 kodex 200 선물인버스2x장기투자 불리한 이유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변동성 끌림현상 2. 롤오버 위험(비용) 3. 높은 운용보수 하방에 배팅하는 'kodex 200 선물 인버스 2x'나 상방에 배팅하는 'kodex 레버리지'는 방향을 맞추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방향만 잘 맞춘다면 어떤 불리한 요건이 발생이 되어도 수익이 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장기투자 시 상승장과 하락장이 반복되기에 일관된 방향성으로.. 2022. 10. 18. 리츠 투자 단점 및 리스크 정리 리츠란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에 투자한 뒤 임대료 등으로 얻은 이익을 배당하는 부동산 간접투자 상품입니다. 최근 금융시장 냉각으로 리츠 또한 외면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츠 투자의 단점 및 리스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츠 투자 단점(리스크) 요약 금리 인상 시 수익률 저조 가능성 리츠 자산 매각& 매입 불발 가능성 거래량, 거래대금 등 유동성 부족 높은 보수와 부대비용들 부동산, 주식시장과 상관성 리츠 투자 단점 상장 리츠 중 공모가 5천 원을 밑도는 종목이 최근 들어 급증했습니다. 한때 고배당과 안전자산으로 여겨졌던 리츠 투자가 금리 인상 여파와 증시 폭락으로 이어진 탓입니다. 리츠 운용 회사에서 자금 조달 시 더 높은 이자를 줘야 하기에 상황도 불리해진 것도 한몫하고 있습니.. 2022. 10. 17. 미국 CPI란? 구성요소 및 구성비중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모든 것 미국 CPI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를 말합니다. 최근 CPI 급등으로 기준 금리 인상 또한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번포스팅을 통해서 CPI의 구성요소와 비중은 어떻게 되고 각 구성요소별 비중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CPI란?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CPI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가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해 지불하는 가격을 측정한 것입니다. 모든 도시 소비자와 도시 임금 근로자, 사무직 근로자 등 인구 집단에 대한 지출 패턴을 반영합니다. 이는 미국 소비자의 약 93%를 차지합니다. 농촌 거주자, 농가, 군 복무자, 교도소나 정신병원과 같은 기관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209개 재화/서비스 항목과 2개의 주거 관련 항목 등 총 .. 2022. 10. 16. 애플페이 관련주 대장주 Top 5 | 애플페이 테마주 애플페이 관련주로는 한국정보통신, 나이스정보통신, 이루온, KG이니시스, 에이텍 등이 있습니다. 애플 페이가 11월 말경 도입이 예정된다는 풍문에 따라 관련주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애플 페이 관련주(수혜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애플페이 관련주 대장주 애플페이 관련주는 나열된 종목 외에도 많이 있습니다. 직접적인 수혜를 받는 기업은 없지만 간접적인 결제 연결 회사 또는 VAN 사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종목명 요약 1. 한국정보통신 전자지급결제대행(PG), 알리페이 바코드 결제 등 2. 나이스정보통신 카드조회단말기 상품판매, VAN사업 등 3. 이루온 스마트 카드발급/발송 시스템 4. KG이니시스 전자지불결제대행업(PG) 등 5. 현대카드 애플페이.. 2022. 10. 15. 원전 관련주 대장주 TOP 7 | 원자력 산업 전망 분석 원전 관련주로는 두산에너빌리티, 현대건설, 한전기술, 우리기술, 보성파워텍, 한전KPS, 우진 등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원자력 관련주 및 대장주에 대해 알아보고 원자력 관련 산업 전망에 대해서 짚어보겠습니다. 원전 관련주 대장주 원전 관련주는 나열된 종목 외에도 많이 있습니다. 원자로 건설부터 보수 및 수리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산업이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원전 관련주 중 주요 7가지 종목에 대해 알아보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종목명 요약 1. 두산에너빌리티 소형 모듈원전(SMR) 사업 2. 현대건설 원자력발전 시공 3. 한전기술 원자력발전 설계 4. 우리기술 원자력발전 감시시스템 5. 보성파워텍 원전 변전소용 철구조물 6. 한전KPS 원자력 발전설비정비 7. 우진 원자력 발전소용 계측기.. 2022. 10. 14. 미국 CPI 발표(2022년 9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미국 CPI 발표(2022년 9월 기준) 미국 노동통계국은 모든 도시 소비자를 위한 소비자물가지수(CPI-U)가 8월 0.1% 상승한 데 이어 계절조정 기준으로 9월에도 0.4% 올랐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 12개월 동안 계절조정전 CPI지수는 8.2% 상승했습니다. 이는 시장 예상치 8.1%를 소폭 상회했습니다. 그럼에도 피크아웃(Peak-out)이라는 시장의 인식으로 3대지수가 상승 마감했습니다. 주거비, 음식, 의료 지표의 증가의 기여도가 가장 컸습니다. 월별 계절 조정(seasonally adjusted)된 모든 항목이 증가했으나 휘발유 지수가 4.9% 하락함으로써 일부 상쇄되었습니다. 식품 지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한 달 동안 0.8% 증가했습니다. 휘발유 지수가 하락하면서 에너지 지수는 한.. 2022. 10. 14.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