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레버리징이란?
디레버리징(deleveraging)은 부채를 축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미시경제 측면에서 보면, 가계나 기업 등 개별 경제주체의 자본상태표에서 부채의 비중을 낮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기가 호황일 때는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자금을 차입하여 수익성이 높은 곳에 투자해 빚을 상환하고도 수익을 많이 낼 수 있는 레버리지(leverage)가 효과적인 투자기법이 됩니다.
반면에 경기가 불황일 때는 자산가치가 급격히 하락하여 수익성이 낮아지고 금리가 상대적 으로 높아지게 되므로 부채를 상환, 정리, 감축하는 디레버리징이 효과적인 투자기법이 됩니다. 레버리지 효과와 상반되는 개념으로 고금리 시대에 부채 감축을 이행하는 가계, 기업 주체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참고) 레버리지에 관한 포스팅 ↓↓
레버리지 효과 개념 투자 위험성 완벽정리
레버리지 효과란 금융 용어에서는 지렛대 효과를 말합니다. 투자를 하면서 혹은 뉴스를 보면서 많이 들어봤을 내용입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레버리지 투자의 뜻과 예시와 위험성과 함정 등
5ri-stock.tistory.com
디레버리징을 위해서는 경제주체는 자산을 매각하거나 증자를 통해서 자금을 조달해야 합니다. 디레버리징은 자금난을 겪고 있는 민간부문에게는 고통스러운 과정인데, 이는 자산을 할인가격에 매각하는 것 자체가 심각한 손실로 귀결되기 때문입니다.
거시경제 측면에서 보면, 경제 전체의 디레버리징은 민간과 정부 등 여러 부문에서의 동시다발적인 부채 수준의 감축을 뜻합니다. 통상 국민계정에서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의 하락으로 측정되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각국에서 나타난 경제 전체의 디레버리징은 거시경 제 전반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는 종종 경기불황으로 이어졌습니다. 민간부문의 디레버리징을 상쇄하는 과정에서 정부부채가 증가하는 현상이 많은 나라에서 관찰되었습니다.
'투자 >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픽스금리(COFIX)란? (1) | 2022.12.07 |
---|---|
닷컴버블(IT버블)이란? 버블 테마주의 결말 (0) | 2022.11.29 |
그림자 금융이란? | 그림자 금융의 위험성과 규모 (0) | 2022.11.14 |
가산금리와 신용스프레드 뜻 의미 (0) | 2022.11.13 |
환율관찰국 이란? | 환율관찰대상국 지정 의미 (0) | 2022.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