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시대에 들어서며 정기예금과 적금 금리가 많이 높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가입자 문의도 많아지고 있는데요, 적금을 가입했는데 생각보다 실질 이자가 작아서 당황했던 경험도 있었을 겁니다. 정기예금과 적금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 금리 차이가 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기예금 vs 적금 무엇이 더 유리할까?
정기예금 vs 적금
- 금리가 같다면 정기예금이 더 유리
- 적금의 실질 이자율은 정기예금의 절반 수준
정기예금 이자와 정기적금 이자는 계산 방법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정기예금 이자 연 4%는 실제로도 연 4%이지만, 정기적금 이자 연 4%의 실질이자율은 그 절반 수준인 2.16%입니다.
이런 차이는 정기예금은 은행에 원금을 가입 기간 동안 미리 예치하기 때문에 전체 가입기간 동안 연 이자가 적용되지만, 정기적금은 원금에 해당하는 돈을 모으기 위해 매달 일정 금액을 납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매달 내는 납입액마다 이자 적용 기간이 달라 정기적금의 실질 이자율이 원래 이자율과 다른 현상이 나타납니다.
실제 사례를 들어보겠습니다.
1년에 1,200만 원씩 저축하는 두 사람이 있습니다. 강아지씨는 매달 100만 원씩 적금을 해서 1년 동안 1,200만 원을 모았고, 고양이씨는 1월 1일 신년을 맞아 1,200만 원을 예금했습니다.
적금과 예금의 금리가 똑같이 4% 라면, 이 둘의 이자는 각각 얼마일까요? (소득세 없다고 가정)
적금을 든 강아지씨는 원금 1,200만 원을 넣고 이자 26만원을 받습니다.
정기예금을 든 고양이씨는 원금 1,200만 원에 넣고 이자 48만 원을 받습니다.
적금 금리의 속임수
적금 금리의 실질이자율은 낮음
- 예금의 경우 가입기간 전체 이자기간 적용( 공시된 이자율 = 실질이자율)
- 적금의 경우 매달 납입액마다 이자기간이 다름(공시된 이자율 > 실질이자율)

똑같은 4%의 금리(금리는 은행에 예치하거나 적립하는 돈에 따라붙는 이자를 산정할 때 쓰임)인데,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정기적금은 1월에 100만 원을 내면 4% 금리 이율이 12월 내내 적용받지만, 2월에는 100만 원을 내면 4% 이율이 11개월만 적용받게 되고, 3월에 100만 원을 내면 3% 이율이 10개월만 적용받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마지막 달 내는 100만 원은 한 달 동안만 금리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금리는 4%이지만 정작 원금 대비 2.167%의 수익을 받게 됩니다.
정기예금은 같은 금액의 목돈을 한 번에 입금을하면, 예금기간 내내 목돈을 금리의 영향에 둘 수 있게 됩니다. 고양이의 예시를 보면 4% 금리를 12개월 적용하는 셈입니다.
적금 금리 예금 금리로 환산하는 방법
적금계산기 활용
- 적금계산기를 활용하여 정기예금과 실질금액을 비교할 수 있음
- 세전이자와 세후 수령액을 알 수 있음
정기 적금과 정기 예금의 금리를 비교하려면 정기 적금의 실질금리를 계산해 봐야 합니다. 정기 적금의 실질 금리를 계산하는 방법은 포털사이트의 '적금계산기'를 통해 간단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월 적립액, 적금 기간(개월), 연이자율을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계산된 세전이자(260,000원)을 원금합계 (12,000,000원)으로 나누면 2.167%가 계산됩니다.

맺음말
적금의 실질 이자율이 낮긴 하지만 적금으로 목돈을 모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후 만기 된 적금 금액은 그대로 예금으로 옮겨 이자 혜택을 받습니다. 이렇게 꾸준히 적금을 예금으로 옮기는 방법을 반복하다보면 어느새 목표한 목돈 숫자가 스노우볼처럼 굴러서 커지게 될 것이며 다양한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상 포스팅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돋이 명소 2023년 새해맞이 명소 (1) | 2022.12.29 |
---|---|
병원비 아끼는 방법(feat. 건보료는 지속 상승) (0) | 2022.12.29 |
기부금 세액공제 2023 연말정산 환급 더 많이 받는 방법 (0) | 2022.12.25 |
채권 투자로 하는 재테크 ① 장기 채권에 투자하세요 (0) | 2022.12.09 |
주유소 가격 비교 방법 | 기름값 아끼는 방법 정리 (0) | 2022.1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