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가 급등으로 휘발유, 경유 값 또한 고공행진을 했습니다. 최근 진정세를 보이긴 했지만 여전히 부담스러운 기름값입니다. 한국석유공사에서 운영하는 오피넷이라는 사이트를 통해 주유소 가격 비교 방법 및 차량의 기름값 아끼는 방법(연비를 높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유소 가격 비교 방법 : 오피넷
민간업체가 아닌 한국석유공사에서 '오피넷'이라는 사이트를 통해 전국 주유소 및 충전소의 실시간 가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피넷은 전국 1만 3천여 개의 주유소와 충전소의 실시간 가격을 제공하는 유가 제공 서비스입니다.
전국 평균 주유 가격은 물론, GPS를 통해 실시간으로 내 주변 주유소와 지역별 주유소, 고속도로 주유소, 면세유 주유소, 불법행위 주유소 등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피넷을 통하여 쉽고 간편하게 내 주변 최저가 주유소에서 저렴하게 주유를 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주유소 가격 비교 사이트 오피넷 확인하기↓↓
싼 주유소 찾기 오피넷
www.opinet.co.kr
오피넷 사이트를 접속하면 아래 메인화면처럼 전국의 주유소를 모두 조회해 보실 수 있습니다. 시세 또한 실시간으로 반영되기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름값 아끼는 방법 : 연비 효율화!
1. 불필요한 짐 정리하기
자동차 트렁크에 불필요한 짐을 가득 쌓고 다녔다면 가볍게 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차가 무거워질수록 더 많은 연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연비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평소 차량 내부를 정리하는 습관을 만들어 차량을 가볍게 만들어주세요 연비가 제법 개선이 될 것입니다.
2. 공회전하지 말기
자동차가 공회전 상태로 장시간 방치된다면, 연료 낭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2,000cc 승용차 한 대 기준으로 하루 5분 공회전을 했을 때 연간 23L의 연료가 낭비된다고 합니다. 연료 낭비는 물론 자동차 성능까지 저하시킬 수 있다고 하니, 공회전 상태는 되도록 하지 않는 게 좋겠습니다. 스탑 앤 고 기능이 있다면 켜 놓는 게 좋아 보입니다.
3. 권장 엔진오일 사용하기
자동차가 이동할 때는 다양한 저항이 발생하게 됩니다. 공기의 저항, 변속기의 저항은 물론 엔진 자체에서도 저항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내부 마찰을 줄이기 위해 엔진오일을 사용합니다. 이때 권장하는 엔진 오일을 사용한다면 자동차의 연비를 더욱더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작정 좋은 엔진 오일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개인의 주행 환경과 스타일을 고려해 내 차에 맞는 엔진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급가속, 급제동, 급출발하지 말기
기름값을 아끼는 기본적인 방법 중 하나는 운전 습관입니다. 급가속과 급제동을 자주 했다면 앞으로는 액셀과 브레이크를 급하게 다루지 마세요. 이 습관만 고친다면 30%나 연료를 아낄 수 있습니다. 멀리서 정지 신호가 켜지거나 앞 차량의 제동등이 들어오면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고, 서서히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주면 좋습니다. 또한, 급출발도 절대 금지는 마찬가지입니다. 같은 차량이어도 급출발하는 차량은 연비를 많이 소모하니, 잊지 않고 부드럽게 페달을 밟아야 합니다.
5. 주유는 미리하고 가득 채우지 말기
대부분의 사람들이 연료 경고등이 켜지면 주유를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습관은 사고의 위험성도 높고 주유비를 아끼는 측면에서 안 좋은 습관입니다. 연료의 눈금이 바닥일 때 혹은 한 칸일 때에는 사실 한 칸 이하의 기름이 남아있는 것과 같습니다. 한 칸이 못되게 남은 상태에서 주유를 하게 되면 남아 있던 기름이 공기 중에 날아가 버리기 때문에 주유 시 손해를 보게 됩니다. 또한, 주유는 전체 80% 정도 채우는 게 좋습니다. 트렁크 등 짐 정리와 같은 맥락으로 차는 무거울수록 연료를 소진하기 때문에 주유는 가득 채우지 않아야 합니다.
이상 주유소 가격 비교 사이트 및 연비효율을 위한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포스팅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돋이 명소 2023년 새해맞이 명소 (1) | 2022.12.29 |
---|---|
병원비 아끼는 방법(feat. 건보료는 지속 상승) (0) | 2022.12.29 |
기부금 세액공제 2023 연말정산 환급 더 많이 받는 방법 (0) | 2022.12.25 |
채권 투자로 하는 재테크 ① 장기 채권에 투자하세요 (0) | 2022.12.09 |
정기 예금 적금 차이, 무엇이 더 유리할까? (0) | 2022.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