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2023 로봇 관련주 5종목 | 로봇 테마주 대장주 수혜주

by 황금알오리투자 2022. 10. 5.
반응형

 로봇 시장은 향후 5년간 연평균 15% 이상 고성장이 예상되는 산업입니다. 한국 로봇 시장 규모는 세계 5위권 수준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우리나라의 로봇 관련 종목은 무엇이 있으며 로봇 산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로봇관련주-썸네일
로봇-관련주

 

로봇 관련주

상장된 기업 중 대표적인 로봇 관련주로는 레인보우 로보틱스, 로보티즈, 라온테크, 에브리봇, 유일로보틱스 등이 있습니다. 대표종목 5개를 알아보고 그 외 상장된 종목 리스트를 확인해보겠습니다.

1. 레인보우로보틱스

(1) 기업개요

  • 레인보우 로보틱스는 2011년 2월 설립된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플랫폼 전문 기업입니다. 제품군은 크게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플랫폼, 협동 로봇 및 천문 관측용 마운트 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로봇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초정밀 지향 마운트를 개발하였으며, 취미 활동가, 전문가뿐만 아니라 최근 군사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마운트를 개발하여 시장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습니다.
  •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협동 로봇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을 개발하기 위한 핵심 부품 및 요소 기술을 내재화하여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설계된 이족보행 로봇은 주로 선진국에서 연구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 매출 구성은 로봇이 88.7% 기타 매출 11.2% 수준입니다. 기타 매출도 사실상 로봇과 관련되기에 로봇 100% 비중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협동로봇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로봇
레인보우로보틱스-매출구성
레인보우로보틱스 매출구성

(2) 요약 손익(단위 : 억 원)

레인보우로보틱스 2020년 2021년 2022년
반기
매출액 54 90 70
영업이익 -13 -10 8
순이익 -14 -78 7

2. 로보티즈

(1) 기업개요

  • 로보티즈는 1999년 3월 25일에 설립되어 서비스로봇 솔루션 및 로봇부품을 연구 개발 및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핵심 기술(제품)은 서비스 로봇 구축 솔루션이며 크게는 로봇전용 액츄에이터와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능형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스템 통합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의 강점을 이용하여 자율주행 로봇을 신성장 동력사업으로 기획 및 추진하고 있으며, 주력 개발사업으로 투자를 계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  기업 현장에서 자동화 로봇 투자 수요 촉진을 야기시켜 로봇의 활동 영역이 광범위하게 늘어나 로봇산업은 코로나19 이후 뉴노멀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최근들어 스마트시티 모빌리티의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실외 자율 주행 로봇의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 매출구성은 엑츄에이터 및 응용제품 89%, 자율주행로봇 11% 수준입니다.
 

로보티즈-주요제품
로보티즈 주요제품
로보티즈-매출구성
로보티즈 매출구성

(2) 요약 손익(단위 : 억 원)

로보티즈 2020년 2021년 2022년
반기
매출액 192 224 123
영업이익 -18 -9 -10
순이익 -1 7 -10


3. 라온테크

(1) 기업개요

  • 라온테크는 2000년 3월 설립하여 제조업용 로봇(Robot)과 자동화 시스템(FA)을 개발 및 공급하는 기업입니다. 반도체 및 FPD용 로봇시스템과 일반산업용 로봇 자동화 시스템 제조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2016년 수원 신축사옥으로의 본사 이전을 통한 경영환경 개선 및 업무 효율성 증대를 통해 생산 CAPA를 크게 향상했으며, 나온테크에서 라온테크로 사명을 변경했습니다.
  • 소부장 국산화 기술에 대한 관심 상승,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경제 활성화에 따른 반도체 수요 증가로 전방 시설 투자가 확대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힘이 됨. 다양한 로봇 모델과 자체 제어기를 개발/적용하여 시장에 진입하였으며, 중국 등으로 수출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 매출 구성은 Semi Platform 95%, 기타 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라온테크-장비
라온테크 장비

 

라온테크-매출구성
라온테크 매출구성

(2) 요약 손익(단위 : 억 원)

라온테크 2020년 2021년 2022년
반기
매출액 184 369 308
영업이익 11 52 42
순이익 8 59 32

4. 에브리봇

(1) 기업개요

  • 에브리봇은 2015년 1월 설립하여 제품 제조 개발 특허와 로봇청소기 관련 연구개발에 특화된 우수인력과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로봇청소기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2021년 출시한 쓰리 스핀 모델은 트리플 스피닝을 기반으로 기존 제품에 탑재되어 있던 기술 개발을 고도화한 제품으로 에브리봇의 차세대 대표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향후 개인서비스 로봇 시장은 청소기 시장에서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 기술로 다른 분야로 점차 확대할 계획입니다.
  •  국내에서는 물걸레 로봇청소기 시장의 주도적 점유율을 바탕으로, 흡입형 로봇청소기 시장에 보다 적극적으로 진입할 계획입니다. 해외 시장은 2020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진출하고 있으며, 향후 Amazon과 같은 온라인 채널을 보다 다양한 국가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 매출 구성은 자동화 시스템 품목 70%, 산업용 로봇 22%, 기타 7% 수준입니다.

에브리봇-로봇청소기
에브리봇 로봇청소기
에브리봇-매출구성
에브리봇-매출구성

(2) 요약 손익(단위 : 억 원)

에브리봇 2020년 2021년 2022년
반기
매출액 492 511 276
영업이익 130 101 44
순이익 -9 95 52

5. 유일로보틱스

(1) 기업개요

  • 유일로보틱스는 2011년 설립되어 산업용 로봇 및 플라스틱 사출 형성에 적용되는 사출 주변기기(스마트기기)의 제조와 판매 및 오토피딩 시스템과 냉각시스템 등을 통한 자동화 시스템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직교(취출) 로봇, 다관절 로봇, 협동 로봇과 같은 산업로봇 분야에서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사출 자동화 시스템 및 산업용 로봇 기술을 기반으로, 최근에는 스마트 팩토리 설루션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 중입니다.
  • 현재 동사의 매출은 플라스틱 사출 시장에서의 산업용 로봇 및 자동화 시스템에 집중되어 있으나, 다관절 로봇과 협업로봇 등의 본격적인 수주가 이어질 경우, 타 시장으로의 진출이 기대됨. 동사의 직교 로봇, 다관절 로봇, 협동 로봇에 제어기술을 접목하여 향후 스마트 산업 로봇으로 시장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 매출 구성은 자동화 시스템 70%, 산업용 로봇 22%, 기타 7% 수준입니다.

유일로보틱스-협동로봇
유일로보틱스 협동로봇
유일로보틱스-매출구성
유일로보틱스 매출 구성

(2) 요약 손익(단위 : 억 원)

유일로보틱스 2020년 2021년 2022년
반기
매출액 288 350 161
영업이익 27 32 -8
순이익 25 39 -1

 

기타 관련주

위 종목 외에 HTS에 나와 있는 섹터 토대로 관련주 리스트를 정리했습니다. 해당 종목은 투자에 대한 판단 근거를 세우고 사업의 내용 및 재무분석을 선행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 지능형 로봇/인공지능(AI) 관련주 : 퍼스텍, 뷰노, 오픈베이스, 데이타솔루션, 솔트룩스, 루닛, 신테카바이오. 모비스, 알에프세미, 네오펙트, 딥노이드, TPC, 줌인터넷, 러셀, 알체라, 스맥, 가온미디어, 링크제네시스, 휴림로봇, 한국전자인증, 마인즈랩,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셀바스 AI, 제이엘케이, 모아데이타, 티로보틱스, 에이디칩스, 와이더플래닛, 네패스, 로보로보, 유진로보, 로보스타, 로보티즈, LG전자, 에이피시스템, 큐렉소 등이 있습니다. 대장주는 테마성이 부각될때마다 재무, 기업의 내용과 상관없이 변화하였습니다.
  • 스마트 팩토리(스마트공장) 관련주 : 톱텍, 동국알앤에스, 오픈베이스, 현대무벡스, 한신기계, 더존비즈온, 비엠티, TPC, 스맥, 링크제니시스, 휴림로봇, 삼성에스디에스, 에스엠코어, 효성ITX, 알에스오토메이션, MDS테크 에이피시스템, 고영 포스코ICT 등

 

로봇산업 전망

 로봇은 외부환경을 스스로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기계장치를 의미합니다. 우리나라는 세계 5위 규모의 로봇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2020년 기준 로봇산업 내수액은 7조 5,689억 원, 수출액은 1조 3,374억 원으로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또한, 로봇산업 총출하액은 8조 9,063억 원을 기록하며 계속하여 성장하고 있습니다.

 

사용 용도에 따라 제조 현장의 생산 및 출하 작업을 수행하는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용 로봇으로 구분됩니다. 서비스용 로봇은 국방, 의료 등 전문 서비스 로봇과 가사, 건강, 교육 등 개인 서비스 로봇으로 분류됩니다. 아직 까지 우리나라는 산업용 로봇이 주류이지만, 서비스 로봇이 고성장을 이 끌고, 당분간 전문 서비스 로봇의 성장성이 우월하지만, 향후 개인 서비스 로봇 시대가 열릴 것이라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로봇의 범위도 점차 광범위해지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 확산 및 인구 고령화 등으로 노동인구 부족과 맞물려 스마트 팩토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자율주행 등의 발전이 로봇 시장과 시너지를 내고 있습니다.

로봇의범위
로봇의 범위

 

 전문 서비스 로봇의 4대 응용 분야는 의료, 물류, 국방, 농업 등 광범위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서비스 로봇의 주요 트렌드는 모바일 혁명, 구독형 로봇의 확산, 클라우드와 5G 기술 등에도 적용될 것입니다. 인간과 같은 공간에서 협업할 수 있는 협동 로봇이 점차 진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산업용 로봇 트렌드는 공급망의 현지화, 총 소유 비용 절감, 맞춤형 제품 수요 증가 등에 기인하여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향후 로봇시장은 기존의 노동력은 대체함은 물론 적용시킬 수 있는 산업영역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하여 고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로봇 관련 산업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이며 어떤 기업이 선도시장을 주도하는지 면밀히 검토해야 할 시기라 판단됩니다.

 

이상 로봇 관련주와 로봇산업 전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고 : 해당 종목은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한 글이나 내용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투자의 판단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 포스팅을 법적 근거자료로 쓰일 수 없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