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2차전지 미국 ETF는 운용규모가 수십조에 달할 만큼 큰 대규모 ETF입니다. 전기차 및 2차 전지 미국 ETF 중 LIT, DRIV가 대표적입니다. LIT와 DRIV ETF 제반사항에 대해 알아보고 전기차/2차전지 산업 전망에 대해 같이 확인해 보겠습니다.
전기차/2차전지 미국 ETF
전기차/2차전지 미국 ETF의 대표적인 2가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LIT와 DRIV인데요, 둘 다 Golbal X에서 운용하는 대규모 ETF입니다.
1. LIT
Global X Lithium & Battery Tech ETF입니다. 발행사는 Global X이고 운용규모는 4,265십억 달러 수준으로 매우 높습니다. 보유종목수는 47개이며 리튬 1위 업체인 미국의 앰버말(Albemarle)을 약 11% 비중을 싣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테슬라, TDK, BYD 등의 종목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ETF 제반사항 | |
발행사 | Global X |
AUM | 4,265.13 |
총보수 | 0.75% |
분배율 | 0.27% |
보유종목수 | 47 |
보유종목 Top5 | ||
티커 | 구성종목 | 비중(%) |
ALB | Albermarle | 11.27% |
TSLA | Tesla | 6.51% |
6762 | TDK (JP) | 5.76% |
SQM | Quimica Y-SP | 5.26% |
2594 | BYD(HK) | 5.20% |
2. DRIV
두 번째 종목은 Global X Autonomous & Electric Vehicles ETF입니다. 발행사 역시 Global X이고 운용규모가 1000십억 달러가 넘는 대규모 펀드입니다. 보유종목수는 78개이며 애플, 도요타, 구글, 테슬라 등을 상위 종목에 보유하고 있습니다.
ETF 제반사항 | |
발행사 | Global X |
AUM | 1080.91 |
총보수 | 0.68 |
분배율 | 0.40 |
보유종목수 | 78 |
보유종목 Top5 | ||
티커 | 구성종목 | 비중(%) |
ENPH | Apple | 3.51 |
SEDG | Toyota Motor (JP) | 3.25 |
FSLR | Alphabet (class A) | 3.23 |
3800 | Tesla | 3.18 |
968 | Intel | 3.15 |
전기차/2차전지 산업 전망
글로벌 친환경 기조와 함께 폭발적인 성장을 보인 분야는 전기차 및 2차 전지입니다. 신에너지에 해당되는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부문의 기술 발전과 친환경 모빌리티의 융합이 발생했고, 정책적 지원까지 뒷받침되면서 성장세를 기록 중입니다.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은 2020년 대비 2021년 2배 이상 증가했으며, 전체 자동차 판매량 대비 8.3%까지 올라서면서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전기차 산업의 구조적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각국 정부는 전기차 구매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거나 충전소 인프라 구축 등을 지원하면서 시장 활성화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 목표와 발맞춰 내연기관차의 판매 금지를 추진하는 등의 행보 역시도 구조적인 성장을 야기하는 부분입니다.
전기차 생산 원가 대비 비중이 높은 배터리(2차 전지) 역시 시장 성장의 수혜군입니다. 배터리 업체들의 생산설비 확충으로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는 가운데 배터리 수요가 이어지면서 성장 속도 역시 가파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현재 전기차 관련 산업 목표 등을 반영한 시나리오에서 글로벌 배터리 수요는 2020년 0.15 TWh(연간) 수준에서 2025년 0.67TWh(연간)로 4.3배 이상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파리협정 목표 등 반영한 지속가능개발 시나리오에서는 1.61TWh(연간)로 10.4배에 달하는 수요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상 전기차/2차전지 미국 ETF와 산업 전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포스팅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고 : 해당 종목은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한 글이나 내용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투자의 판단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 포스팅을 법적 근거자료로 쓰일 수 없습니다.
'투자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탄소/탄소중립/지속가능성/친환경 ETF 정리 (0) | 2023.01.06 |
---|---|
신재생에너지 관련 미국 ETF 2가지(ICLN, TAN), 신재생에너지 산업 (0) | 2023.01.04 |
KODEX200 레버리지, 인버스, 곱버스, 국내파생 ETF 세금 완벽정리 (0) | 2022.12.26 |
ETF 분배금(배당금) 지급일 분배 금액 확인하는 방법 (0) | 2022.10.27 |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ETF 분석 분배금 배당금 (0) | 2022.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