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환경문제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슈가 부각되면서 국제적으로 다양한 정책 및 규제가 확립되고 있습니다. 각국은 탄소중립 및 넷 제로 목표 달성을 위해 친환경 산업 육성에 투자를 홗대하거나 저탄소 설비 저환을 지원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그린 뉴딜 등 녹색 금융활성화를 통한 경제 성장을 추진 중입니다.
저탄소/지속가능성/탄소중립 ETF
저탄소/지속가능성/탄소중립 ETF는 어떻게 구성될까요? 전반적으로 다수 종목을 편입한 가운데 스크리닝 종목을 선정하게 되는데, 탄소배출량이 적은 기업들에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비친환경적인 사업을 배제하는 등의 방식을 사용합니다. 일례로 글로벌 지수 제공 업체 MSCI는상장 기업의 매출액 대비 직간접 탄소배출량 기준 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기업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지수 내 편입 종목들을 선정합니다.
1. CRBN
iShares MSCI ACWI Low Carbon Target ETF입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테슬라, 구글이 상위 5개 종목입니다. 이 외 1261개의 보유종목이 있으며 운용자산도 1조원이 넘는 대규모 펀드입니다.
ETF 제반사항 | |
발행사 | BlackRock |
AUM | 1,085.05(십억 달러) |
총보수 | 0.20% |
분배율 | 1.04% |
보유종목수 | 1,261 |
보유종목 Top5 | ||
티커 | 구성종목 | 비중(%) |
AAPL | Apple | 4.30 |
MSFT | Microsoft | 3.33 |
AMZN | Amazon | 1.88 |
TSLA | Tesla | 1.27 |
GOOGL | Alphbet(class A) | 1.17 |
2. EMCR
Xtrackers Emerging Markets Carbon Reduction and Climate Improvers ETF 입니다. TSMC, 텐센트, 삼성전자, 알리바바, 중국건설은행 이 상위 5개종목에 포진하고 있습니다. 발행사는 DBX이고 분배율이 앞선 ETF보다 더 높은 2%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운용규모는 좀 더 작으나 보유종목수는 1,160개로 비슷합니다.
ETF 제반사항 | |
발행사 | DBX |
AUM | 679.98십억달러 |
총보수 | 0.15% |
분배율 | 2.03% |
보유종목수 | 1,160 |
보유종목 Top5 | ||
티커 | 구성종목 | 비중(%) |
2230 | TSMC(TT) | 8.64 |
700 | 텐센트(HK) | 6.31 |
005930 | 삼성전자(KS) | 3.40 |
BABA | 알리바바 | 2.49 |
939 | 중국건설은행(HK) | 1.45 |
용어정리
▣ RE100 : 기업들의 사용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캠패인
▣ 그린 택소노미 :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 활동의 범위를 지정
▣ 탄소중립과 넷제로 : 탄소중립은 6대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메탄, 이산화질소, 수소불화탄소, 과불화탄소, 육불화황)중 이산화탄소의 순배출을 0 수준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 넷제로는 6대 온실가스 전체 순배출을 제로화 시키는 방안
이상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2차전지 미국 ETF(LIT, DRIV) 분석 (0) | 2023.01.10 |
---|---|
신재생에너지 관련 미국 ETF 2가지(ICLN, TAN), 신재생에너지 산업 (0) | 2023.01.04 |
KODEX200 레버리지, 인버스, 곱버스, 국내파생 ETF 세금 완벽정리 (0) | 2022.12.26 |
ETF 분배금(배당금) 지급일 분배 금액 확인하는 방법 (0) | 2022.10.27 |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ETF 분석 분배금 배당금 (0) | 2022.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