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출산아 수는 역대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으며 합계 출산율은 0.81로 OECD 국가 중 꼴찌라는 오명을 쓰고 있습니다. 한국의 출산율과 출생아수, 총인구수 추이와 국가별 출산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산아 수 및 합계 출산율
우선 합계 출산율이 2021년 기준 0.81까지 떨어졌습니다. 여기서 합계 출산율이란 여성 1명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낸 지표입니다. 국가별 출산력 수준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입니다.
0.81이란 수치는 평생 1명이 채 되지 않는 0.81을 출산한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지속적인 인구 감소가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연도별 출생아수 또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2021년 말 기준 26만 명 수준까지 내려왔으며 이 수치는 10년 전인 2012년도에 비해 46% 감소한 수치입니다.
정말 심각한 수준의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2년 8월까지의 누계 수치도 약 17만 명으로 사실상 더 악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연도 | 출생아수 (명) |
2012년 | 484,550 |
2013년 | 436,455 |
2014년 | 435,435 |
2015년 | 438,420 |
2016년 | 406,243 |
2017년 | 357,771 |
2018년 | 326,822 |
2019년 | 302,676 |
2020년 | 272,337 |
2021년 | 260,562 |
2022년 (1~8월 누계) |
170,337 |
아래 표를 보면 올해 말 기준 예상 출생아 수가 더욱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올해 8월까지 누계는 약 17만 명인데 이는 작년 8월까지 누계수치보다 무려 1만 명이나 적기 때문입니다.
이 추세대로 간다면 2022년 말 기준 25만 명 이하로도 깨질 수도 있을 듯합니다. 우리나라의 앞날이 정말 정말 걱정입니다.
구분 | 2021년 | 2022년 | ||
8월 | 1~8월 | 8월 | 1~8월 | |
출생아 수 (명) |
22,282 | 180,900 | 21,758 | 170,337 |
전년(동월) 증감률(%) |
-0.5 | -3.4 | -2.4 | -5.8 |
총 인구 변화
우리나라 총 인구 추이는 어떻게 될까요? 2021년도 말 기준 약 5,174만 명을 기록하였습니다. 2021년은 통계 작성 이래 첫 자연감소(인구감소)가 있었던 해입니다.
연도 | 총인구(명) |
2012년 | 50,199,853 |
2013년 | 50,428,893 |
2014년 | 50,746,659 |
2015년 | 51,014,947 |
2016년 | 51,217,803 |
2017년 | 51,361,911 |
2018년 | 51,585,058 |
2019년 | 51,764,822 |
2020년 | 51,836,239 |
2021년 | 51,744,876 |
이후 2022년 8월 누적 기준으로 무려 79,461명의 자연감소가 있었습니다. 합계출산율도 급격히 낮아지고 고령 인구의 사망률은 올라가고 있기에 총인구의 감소 폭 또한 가파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가별 출산율
다음 표는 OECD 국가별 2021년도 기준 합계출산율 수치입니다. OECD 평균 1.6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불명예스럽게도 한국이 꼴찌입니다. OECD 국가 중 유일하게 합계 출산율이 1.0을 넘지 않는 나라에 속하기도 합니다.
일본은 한동안 저출산 국가로 오명을 받았는데도 1.30이라는 수치가 굉장히 높게 보이는 건 왜일까요?
국가 | 2021년 출산율 |
아시아 | |
대한민국 | 0.88 |
이스라엘 | 2.98 |
일본 | 1.30 |
튀르키예 | 1.89 |
북아메리카 | |
캐나다 | 1.46 |
멕시코 | 1.82 |
미국 | 1.66 |
남아메리카 | |
칠레 | 1.54 |
콜롬비아 | 1.72 |
코스타리카 | 1.53 |
유럽 | |
오스트리아 | 1.47 |
벨기에 | 1.58 |
체코 | 1.70 |
덴마크 | 1.72 |
에스토니아 | 1.68 |
핀란드 | 1.39 |
프랑스 | 1.79 |
독일 | 1.53 |
그리스 | 1.37 |
헝가리 | 1.58 |
아이슬란드 | 1.73 |
아일랜드 | 1.77 |
이탈리아 | 1.28 |
라트비아 | 1.58 |
리히텐슈타인 | 1.50 |
리투아니아 | 1.62 |
룩셈부르크 | 1.39 |
네덜란드 | 1.64 |
노르웨이 | 1.50 |
폴란드 | 1.46 |
포르투갈 | 1.36 |
슬로바키아 | 1.57 |
슬로베니아 | 1.63 |
스페인 | 1.28 |
스웨덴 | 1.67 |
스위스 | 1.50 |
영국 | 1.56 |
오세아니아 | |
오스트레일리아 | 1.60 |
뉴질랜드 | 1.77 |
해당 자료는 통계청 자료를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판호(외자판호) 발급, 게임 업종 호재, 수혜주는? (0) | 2022.12.29 |
---|---|
요오드 관련주 TOP 7 | 요오드 테마주 정리 (1) | 2022.10.30 |
수소차 밸류체인 분석 | 수소 관련주 (0) | 2022.10.29 |
수소차 관련주 대장주 Top 7 정리 | 수소차 산업 전망 (0) | 2022.10.26 |
애플페이 관련주 대장주 Top 5 | 애플페이 테마주 (0) | 2022.10.15 |
댓글